데이터베이스
자료 처리
자료와 정보
•
자료 : 관찰과 측정으로 수집된 사실이나 값
•
정보 : 자료 처리 결과,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한 값
정보 시스템
•
한 조직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생성하는 시스템
자료 처리 시스템 종류
•
일괄 처리 시스템
•
온라인 처리 시스템
•
분산 처리 시스템
데이터베이스
•
통합된 데이터
•
저장된 데이터
•
운영 데이터
•
공용 데이터
데이터베이스 특성
•
실시간 접근성
•
내용 참조
•
동시 공유
•
계속적 변화
데이터베이스 구성, 모델
데이터베이스 구성
스키마(Schema)
•
구조에 대한 정의
스키마 3계층
•
외부 스키마
◦
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할 수 있는 정의 기술
•
개념 스키마
◦
DB 전체 정의
◦
범기관적 입장 정의
•
내부 스키마
◦
데이터의 실제 저장 방법 기술
◦
물리적
데이터베이스 언어
•
데이터 정의어 DDL
◦
표를 만들때
•
데이터 조작어 DML
◦
표를 쓸 때
•
데이터 제어어 DCL
◦
데이터 보호
◦
무결성 유지
◦
데이터 회복 및 병행 제어 수행
데이터베이스 사용자
•
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
•
응용 프로그래머
•
일반 사용자
데이터베이스 모델
개념
•
데이터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상용되는 도구
데이터 모델 구성 요소
•
데이터 구조(Structure) :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 표현
•
연산(Operations) : 데이터 인스턴스에 적용 가능한 연산 명세와 조작 기법 표현
•
제약조건(Constraints) : 데이터 논리적 제한 명시 및 조작 규칙
데이터 모델 구분
•
개념적 모델
◦
E - R 다이어그램
•
논리적 모델
◦
계층형
◦
네트워크(망)형
◦
관계형
◦
객체지향형
개념적 데이터 모델
•
E-R 모델
◦
개체 - 관계 모델
◦
E-R 다이어그램 : E-R모델을 그래프 방식으로 표현 한 것
논리적 데이터 모델
•
필드로 기술된 데이터 타입과 이 데이터 타입 간의 관계, 현실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
•
종류
◦
관계형 데이터 모델 : DB를 테이블 집합으로 표현
◦
계층형 데이터 모델 : DB를 트리 구조로 표현
◦
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: DB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(오너-멤버 관계O)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
개요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 정의
•
구성 개체나 관계를 릴레이션으로 표현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 구조
•
튜플(Tuple)
◦
테이블의 행에 해당
◦
파일 구조 레코드와 같은 의미
◦
카디널리티 : 튜플의 수(기수)
•
속성(Attribute)
◦
테이블의 열에 해당
◦
차수(Degree) : 속성의 수
◦
한 릴레이션 속성은 원자값, 속성 간 순서가 없다.
•
도메인(Domain) :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원자값들의 집합
릴레이션의 특징
•
튜플의 유일성 : 서로 다른 값
•
튜플의 무순서성 :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.
•
속성의 원자성 : 속성값은 원자값을 가짐.
•
속성의 무순서성 : 유일한 이름 가짐
무결성
•
개체 무결성 : 기본키의 값은 널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는 제약 족너
•
참조 무결성
•
도메인 무결성
데이터 베이스 설계
1.
요구조건 분석
2.
개념적 설계
•
독립적인 개념 스키마 설계
•
E-R 다이어그램 작성, 트랜잭션 모델링 병행 수행
3.
논리적 설계
•
목표 DMBS에 종속적 논리적 스키마 설계
•
평가 및 정제
•
트랜젝션 인터페이스 설계
•
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변환
4.
물리적 설계
•
접근 경로 설계, 트랜잭션 세부 설계
5.
데이터베이스 구현
데이터베이스 트랜젝션 성질
ACID
•
Atomicity(원자성)
•
Consistency(일관성)
•
Isolation(독립성)
•
Durability(영구성)